티스토리 뷰

자! 우리는 지구타원체가 여러 개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여러 개의 지구타원체 중에 하나를 쓰기로 결정을 되면

그 지구타원체를 어떤 점을 중심으로 할지를 결정해야 하는데

그 기준점을 데이텀(datum, 측지계)이라고 한다.

데이텀(datum, 측지계)

1. 토지나 고도 등을 재는 원점
2. 위치와 표고가 매우 정밀하게 측정된 특별한 점
3. 이 점을 기준으로 다른 점의 위치와 높이를 결정

측지 데이텀(geodetic datum) or 수평 데이텀(horizontal datum)

정밀하게 측정된 위치를 측량하는데 기준이 되는 점

수직 데이텀(vertical datum)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하는 표고(높이)의 기준이 되는 점

데이텀(datum, 측지계)는 크게 지역 측지계, 세계측지계로 구분한다.

지역 측지계는 세계측지계가 도입되기 전까지 지역별 측지계를 사용하였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었던 동경측지계가 바로 지역 측지계이다.

동경측지계는 일제 강점기 때 도입된 것으로 동경 원점에서 멀어질수록

측량 오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계측지계가 개발되었다.

세계측지계는 GPS 위성 24대를 이용해 전 세계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타원체를 확보하고(GRS80) 지구의 중심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1997년 1월 1일에 지구의 중심의 위치를 기준하는 XYZ 3차원 좌표 체계를

결정하고 이를 "ITRF97"이라고 명명하였다.

ITRF97에서 조금 변경된 ITRF2000가 현재는 국제표준

으로 사용 중이다.

 

출처 : 서울 도시게획 포털

세계측지계는 지구의 질량중심을 원점으로 삼아

세계 어느 곳에서도 오차가 거의 없도록 했다.


동경측지계와 세계측지계는 좀 차이가 있다.

아래 사진처럼 말이다.

[세계측지계 전환 시 지적도의 좌표 변화/자료=국토부]

 

더보기

중앙일보 2015.03.08 기사 제목

우리 땅 좌표 100년 만에 바뀐다…동경측지계→세계측지계

기사에서 보면

우리나라에서 쓰던 동경측지계에서 세계측지계로 변경하여

100년 만에 국제표준화를 한다고 발표했다.

현재는 세계측지계를 사용 중에 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